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2024청룡의해
- 수용화커큐민
- 운세
- 평범한운세
- 연체
- 대출
- 연체이력삭제
- 신용대출
- 미리준비
- 사고시예방
- 대박2024
- 인큐텐
- 강력한존재
- 신용점수올리기
- 저임금근로자
- 설득공식
- 2024운세
- 운동
- 염증
- 드라이브라이센스
- 건강
- 고강도조사
- 흡수율중요
- 국민건강100
- 고무패킹청소법
- 슈퍼세일즈맨
- 2024삼재띠
- 미해준비
- 2024대박운세
- 20대신용관리
Archives
- Today
- Total
파이브스타의 블러그
혈압 낮추는 법 본문
반응형
SMALL
혈압 낮추는 법
고혈압의 원인
지방세포의 축척 국내 고혈압 환자는 1200만 명에 이릅니다. 한국인 4명 중 1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는 셈인데 특히 30-40대 젊은 고혈압 환자의 증가세가 눈에 띕니다.
젊은 고혈압 환장가 증가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비만이 있습니다. 즉 지방 세포의 축척입니다 체중과 허리둘레, 혈압 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고 전문가들은 칭합니다.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체내에 지방세포가 많고 체중이 올라갈수록 혈압을 올리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, 고 인슐린 혈증으로 체내 나트륨 흡수가 촉진 도기떄문에 혈압이 높아진다고 덧붙였습니다.
고혈압의 생활습관
- 식이요법, 운동요법, 체중관리, 금연, 절주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고혈압 치료의 첫걸음입니다. 생활습관을 바꾸면 혈압이 내려갑니다.
- 중요한 고혈압 약의 작용을 증강시킵니다.
- 음식을 싱겁게 먹고, 칼슘과 칼륨이 많은 식사를 하고 운동을 하면 고혈압 치료약을 먹은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납니다.
- 심혈관 질환이나 위험인자의 합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큽니다.
- 모든 고혈압 환자는 즉시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해야 합니다.
- 고혈압이 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(고혈압 전단계)도 이때부터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해야 합니다.
생활습관 개선 방법과 그 효과
개선법 | 권고사항 | 수축기혈압의감소 |
체중감량 | 이상체중의 유지(체질량지수 : 18.5~22.9) | 평균 1.1mmHg / 1kg감량 |
건강식사법(DASH Diet) | 포화지방산과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채소, 과일, 저지방 유제품의 섭취 증가 | 평균 11.4mmHg |
저염식 | 하루 염분 6g 이하로 섭취 | 평균 5.1mmHg |
운동량 증가 | 하루 30분 이상 매일 속보로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 | 평균 4.9mmHg |
절주 | 하루 30g 이하의 알코올 섭취 여자나 마른 남자에서는 15g 이하의 섭취 |
평균 3.9mmHg |
고혈압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
고혈압은 생활에서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. 특히 식사요법으로 혈압을 어느 정도는 내릴 수 있으며, 약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식사를 거르거나 과식하지 않습니다.
- 활동량을 늘리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합니다.
- 정확한 기전은 알 수 없습니다.
- 물이 아닌 음료를 적게 마십니다.
- 지방이 많은 고기나 튀긴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.
- 청결한 음식을 알맞게 먹습니다.
- 술을 마실 때에도 그 양을 제한해야 합니다.
식이요법은 왜 중요할까요?
- 적절한 식사는 혈압을 조절하고 다른 만성질환의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.
고혈압을 위한 식사요법 : DASH Diet
섭취필요
- 과일과 야채(하루에 4-5회)
- 식이섬유(하루에 7~8회)
- 저지방 유제품(하루에 2~3회)
- 칼슘
- 마그네슘
- 단백질이 많고 지방이 적은 생선, 가금류(하루에 2회)
적게 섭취필요
- 포화지방
- 콜레스테롤
- 소금
고혈압과 운동
- 운동을 하면 장기적으로 수축기 혈압 4.9mmHg, 이완기 혈압 3.7mmHg정도 감소합니다.
-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50%나 고혈압 발생의 위험이 감소합니다.
- 혈압 강하효과를 보려면 3~6개월 꾸준히 운동을 지속해야 하며, 운동을 그만두고 2~3주만 지나면 운동하기 전
수준으로 다시 올라가므로 운동을 생활화해야 합니다. - 유산소 운동이 주로 혈압을 낮추지만 가벼운 아령운동 등 근력 운동도 혈압을 낮추므로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빨리 걷기나 수영이 격렬한 달리기 보다 혈압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므로 무리한 운동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.
반응형
LIST
'건강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뇨 혈당 수치 (0) | 2023.03.15 |
---|---|
고혈압환자 권장 식품 (0) | 2023.03.10 |
편두통 (0) | 2023.03.08 |
대상포진의 원인 (0) | 2023.03.08 |
컬러푸드 종류 와 효능 (0) | 2023.02.28 |